임신중절 금지 제소' 여성, 스웨덴 총리 등 초청
공화당, 국경문제 관련 외빈 초청…일부 퇴장당해

[워싱턴DC=AP/뉴시스] 7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미국 국회의사당에서 국정연설 하는 동안 질 바이든 여사와 외빈들이 박수치고 있다. 2024.03.08.

 

[서울=뉴시스] 이혜원 기자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올해 국정연설에 낙태, 노동조합,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관련 인물을 초청해 임기 마지막 연설을 장식했다.

7일(현지시간) 미국 CBS 등에 따르면 이날 미국 워싱턴DC 국회의사당에서 진행된 바이든 대통령의 국정연설에는 텍사스주 댈러스의 케이크 콕스 등이 외빈으로 참석했다.

콕스는 지난달 임신중절 금지법에 반발해 텍사스주를 상대로 소를 제기한 인물이다. 콕스는 세 번째 아이 임신 중 18번 염색체에 이상이 있다는 진단을 받은 뒤 임신중절을 결심했지만, 주법에 따라 거절됐다.

올해 대선에서 재선에 도전하는 바이든 대통령은 보수 공화당에 맞서 낙태권 보장을 주요 의제로 내세우고 있다. 연설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로 대 웨이드 판결을 이 땅에 다시 세울 것"이라면서, 콕스를 직접 호명하며 일으켜 세우기도 했다.

'로 대 웨이드' 판결은 낙태권을 보장하는 내용으로, 보수 우위 연방대법원에서 2022년 뒤집혔다.

이날 오전 나토 회원으로 공식 합류한 스웨덴의 울프 크리스테르손 총리도 초청받았다. 바이든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지원을 촉구하며 크리스테르손 총리를 거론, 나토 가입을 환영한다고 네 차례 연이어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푸틴을 막을 수 있다"며 "내 전임자(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와 달리 난 굴복하지 않을 것"이라며 비판하기도 했다.

 

[워싱턴=AP/뉴시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각) 워싱턴 국회의사당에서 임기 마지막 국정연설(연두교서)을 하고 있다. 2024.03.08.

 

[워싱턴=AP/뉴시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각) 워싱턴 국회의사당에서 임기 마지막 국정연설(연두교서)을 하고 있다. 2024.03.08.

최근 바이든 대통령 지지를 선언한 숀 페인 전미자동차노조 위원장과 총기 규제 운동가, 미국 최초 체외수정 출생자, 학자금 대출 채무 탕감 수혜자 등도 초청받았다. 상당수가 바이든 대통령 연설 중 호명돼 박수받았다.

러시아 야당 지도자 고(故) 알렉세이 나발니의 배우자 율리아 나발나야와 올레나 젤렌스카 우크라이나 영부인도 초청했지만 거절됐다.

백악관은 성명에서 "이들은 대통령이 연설에서 다룰 문제나 주제를 전형적으로 보여주거나 바이든 행정부 정책을 구현하는 인물"이라고 설명했다.

공화당도 '맞불' 외빈 초청으로 바이든 대통령을 압박했다. 공화당 의원들은 2021년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철군 과정에서 사망한 군인의 유족과 하마스 인질의 친척들을 초청했다.

뉴욕에서 이주민 관련 테러를 당한 경찰관 두 명도 초대했다. 불법 이민자에 의해 살해된 조지아주 간호학과 학생의 부모도 초청했지만 거절됐다. 러시아에 억류 중인 월스트리트저널(WSJ) 기자 에반 게르시코비치의 부모도 초대받았다.

 

[워싱턴DC=AP/뉴시스] 2021년 아프가니스탄 철군 과정에서 사망한 미 해병의 아버지가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국회의사당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국정연설 도중 고함을 지르며 야유하고 있다. 2024.03.08.

 

[워싱턴DC=AP/뉴시스] 2021년 아프가니스탄 철군 과정에서 사망한 미 해병의 아버지가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국회의사당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국정연설 도중 고함을 지르며 야유하고 있다. 2024.03.08.

연설 방해로 퇴장당하는 외빈도 있었다.

악시오스에 따르면 아프간 철군 과정에서 폭탄 테러로 사망한 미 해병의 아버지는 국정연설 방해 혐의로 체포됐다.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은 내가 취임했을 때보다 더 안전하다"라고 말하자, 아프간 폭탄 테러를 언급하며 고함을 질렀다.

미 국회경비대 대변인은 액시오스에 "(고함을) 멈추라고 경고했지만 중단하지 않자 퇴거시켜 체포했다"며 "혼잡, 방해 또는 불편 혐의로 기소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두고 액시오스는 "국정연설에서 예의 기준이 낮아진 걸 보여주는 극히 드문 사례"라고 지적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ey1@newsis.com

저작권자 © 한국뉴스종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