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7만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정부가 확진자 폭증이 단기적으로는 위험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방역 안정화와 일상회복에 긍정적 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23일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정례브리핑을 통해 "확진자가 폭증하면 단기적으로는 위중증, 사망자의 절대 숫자가 증가할 수 있어 위험하다"면서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델타와 비교해 치명률이 낮은 오미크론이 확산한다는 점에서, 일상회복을 위한 긍정적 요인으로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증화율이 낮은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으로 자리를 잡은 상황에서 대규모 유행을 거칠 경우, 백신으로 면역을 획득한 이들과 자연면역을 지니게 된 이들이 크게 늘면서 확산세가 꺾일 수 있다는 것이다.
손 반장은 "앞으로 어떻게 중증 환자와 사망자를 관리 가능한 범위 내에서 유지하면서 유행을 겪어나갈 것인가가 중요하다"며 "현재까지는 오미크론 자체의 특성에 더해 안정적인 의료체계를 통해 위중증 환자, 사망자를 최소화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한 "방역패스나 '사회적 거리두기'의 조정 방안은 오미크론 유행이 진행되는 상황과 정점 도달, 이후 감소세 전환 등의 시점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뉴스종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